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수량감소 예측

    고구마 덩굴쪼김병(국립식량과학원 이준설)

    병징 및 발생수준
    덩굴쪼김병증상덩굴쪼김병증상 발병주율 10%발병주율 10% 발병주율 30%발병주율 30% 발병주율 50%발병주율 50%

    방제가 필요한 수준 및 방제 시기

    경제적 피해허용 수준

       발병주율 7~12%

    방제가 필요한 수준

       발병주율 10.3%

    포장 관찰

    • 고구마를 삽식한 후 2주 지나서 포장의 덩굴쪼김병 발병주율이 10%에 도달하면 반드시 보식을 실시한다.
    • 보식을 하더라도 토양 중 병원균이 존재하므로 토양상태에 따라서 계속 발병이 진전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보식과 동시에 토양소독제로 토양소독이 필요하다.
    • 현재 효과적인 토양소독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기존 약제로 충분한 방제효과를 보기 어려우므로 반드시 연작을
         피해야 한다.

    피해 산출

    덩굴쪼김병 발생에 따른 수량 감소 모형

       - 수량(y)=-12.414x+1273.4(논산지역), y=-23.777x+1467.4(해남지역), x=발병주율

       - 10a당 소득 1,270,000원, 방제비용 150,000원 기준(2008 농업통계)

       - 손익분기점 발병주율

    • 150,000×1273.4/12.4×1,270,000=12.1%(논산지역)
    • 150,000×1467.4/23.8×1,270,000=7.3%(해남지역)
       - 수량 10% 감소 발병률
    • 90%(1,146.06㎏)=-12.414x+1273.4, x(발병주율) = 10.3%

    수량감소 예측 결과(해남지역, 삽식 후 2주)

    수량감소 예측 결과
    입력 항목
    1 병든주율 재배면적   =>   ha 기대수량 kg
    2 가격/Kg
    3 방제비 (원/10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