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크게
초기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
병해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메뉴
NCPMS
전체메뉴
병해충예찰
병해충예찰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예찰결과
병해충예측
병해충예측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병해충예측지도
병해충예측지도
도열병 방제결정지원
기후변화 영향평가
병해충상담
병해충상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병해충정보
병해충정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작물별 도감정보
병해충별 도감정보
병
병원체
곤충
해충
잡초
천적 곤충
주간농사정보
병해충 발생정보
농작물재해예방정보
병해충 검색
이용안내
이용안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NCPMS OpenAPI안내
병해충예측문자발송설정안내
NCPMS 리플렛
전체메뉴 닫기
병해충정보
작물별 도감정보
병해충별 도감정보
병
병원체
곤충
해충
잡초
천적 곤충
주간농사정보
병해충 발생정보
농작물재해예방정보
병해충 검색
홈
병해충정보
병해충별 도감정보
해충
곤충기본정보
한글명
갈색날개매미충
더보기
속종명
Ricania / speculum
목/과명
매미목 / 좀매미충과
명명년도 / 명명자
2013 / -
작물명
복숭아
분포정보
아열대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매미목 해충으로 국내에는 2010년 충남 공주와 예산, 전북 순창과 김제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2011년 전남 구례에서 대량 발생한 이후 2015년에 6,958ha 2016년 11,276ha로 발생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형태정보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은 8.5∼9㎜, 수컷은 8∼8.3㎜이며, 수컷은 배 끝이 뾰족하고 암컷은 둥글다.
알은 유백색 장타원형으로 길이 1.24mm 이고 식물체 조직 속에 산란된다. 약충 초기에는 유백색을 띄다가 성장하면서 노란색으로 바뀌며 배 끝에 흰색의 구불구불한 밀랍물질을 부채처럼 펼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충 몸길이는 8.2(수컷)~8.7(암컷)mm로 흑갈색이며 텐트모양으로 날개를 접고 있다.
가지 속에 알을 난괴 형태로 낳는데, 난괴의 길이는 약 1.5∼2.3cm이고 하나의 난괴에 15∼30개 정도의 알이 두 줄로 있다.
약충은 5령까지 있는데 각 영기별 크기는 1.0, 2.1, 3.2, 6.5, 7.1㎜이다.
3령과 4령의 크기는 차이가 많이 나지만 4령과 5령은 크기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4령은 노란색, 5령은 희색을 띠며, 4령∼5령은 가슴 뒷부분에 3쌍의 검은색 반점이 있다.
일반정보
생태정보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1세대 발생한다.
가지 속에서 알 상태로 월동하며 이듬해 4월 하순∼5월 상순경에 부화한다.
* 봄철 기온에 따라 약충 발생 시기가 1∼2주정도 차이가 남
부화한 약충은 4번 탈피(1령∼5령 약충)한 후 7월 중순∼8월 상순경에 성충이 된다.
우화한 성충은 1개월 정도 영양을 보충한 후 8월상순경부터 기주식물의 1년생 가지 속에 알을 낳는다.
발육영점온도는 9.3℃, 유효적산온도는 693.3일도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기주식물은 사과나무, 감나무, 블루베리, 두릅나무, 때죽나무, 갯버들, 자귀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산수유 등 140종이 넘는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식물체로부터 양분을 흡즙하여 생육을 저해한다.
* 블루베리의 경우 부화한 약충은 블루베리나무에서 서식하지 않고 과원 밖의 다른 기주식물로 이동하여 생활하다가 성충이 된 후 산란하기 위해 과원으로 날아옴
1년생 가지 속에 난괴형태로 알을 낳아 가지에 1.5∼2.5㎝ 정도 크기의 상처를 생겨서 양·수분의 공급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여 가지가 마르거나 심하면 말라죽기도 한다.
그을음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갈색날개매미충에 의해 그을음이 발생하는 경우는 적으므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흡즙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산란에 의한 간접피해가 더 문제가 되고 있다.
산란특성
- 1년생 가지를 산란관으로 파고 그 속에 길이 1.24㎜, 폭 0.55㎜ 크기의 알을 45°각도로 두 줄로 낳고 가지를 파낸 톱밥과 흰색의 밀납 물질을 혼합하여 난괴 윗부분을 덮어 놓는다.
- 난괴 길이는 기주 및 가지마다 차이는 있으나 15.2∼18.0㎜이며 난괴 하나에 들어 있는 알 수는 25.0∼30.9개이다.
- 가지 굵기가 작은 1년생 가지에 산란하는 특성으로 인해 가지 굵기의 약 30∼50%가 상처를 입어 양수분의 이동이 불량해져서 가지가 마르게 되거나 심할 경우 죽게 되며, 상처로 인해 가지가 약해져서 산란 가지에 과실이 달린 경우 과실의 무게에 의해 가지가 부러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방제방법
난괴 : 산란에 의해 발생한 난괴가 붙은 가지를 제거한다.
* 복숭아나 블루베리의 경우 난괴가 붙은 가지를 전정(12월∼3월)할 경우 가지가 마르기 때문에 부화율이 1% 이하가 되므로 가지를 태우거나 땅에 묻을 필요는 없음
약충 : 약충 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인 5월 하순∼6월 상순에 2주 간격으로 약제를 살포한다.
성충 : 성충이 산란을 위해 과수원으로 날아오는 시기인 8월 하순∼9월 중순경에 약제를 살포한다.
곤충 사진정보(
51
)
해충 사진정보(
8
)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다운받기
농촌진흥청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목록
자동 로그아웃 안내
30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로그인 연장
닫기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통합검색
작물 혹은 병해충명을 입력하세요.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