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명 | 가래 |
학명 | Potamogeton distinctus A Benn | |
과 | 가래과 | |
일명 | ヒルムシロ | |
영문 | Roundleaf pondweed/Bog pondweed/Pondweed |
유입종 자생종
학명-이명
Potamogeton distinctus A Benn형태
○ 초장생태
가래(potamogeton distinctus)는 가래과 다년생잡초로서,연못에서는 흔히 보이고,요즘에는 다소 줄어들기는 했으나 논에서도 자주 눈에 띈다. 가래는 물이 담겨진 곳에서 잘자라는 수생식물이기 때문에,논의 경우에는 물 빠짐이 나쁜 논에 많은 편이다.논에서는 가래가 한번 들어가면,무척 방제하기가 힘들다. 그 이유는 지하경(땅속줄기)때문이다. 왜냐하면,첫째,그 지하경의 생장속도가 굉장히 빠르고,둘째,연약해서 쉽게끊어지고,셋째,끊어지더라도 쉽게 재생하는 점이다. 가래에는 종자가 있기는 있으나 주로 인경(麟莖)이라고 하는 영양기관으로 번식을 한다.가래는 지하경 끝부분에 바나나 또는 닭발모양의 비늘줄기(인경)를 형성하여 영양번식을한다. 비늘줄기는 토양 20 cm 깊이에서도 출아하며,대개 써레질 7~16일 후에 발생을시작한다. 비늘줄기는 휴면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발생이 비교적 균일하며,바나나형비늘줄기는 1본씩 떨어지더라도 싹이 틀 수 있기 때문에 로타리 작업은 가래의 발생면적을확산시킬 수 있다.비늘줄기는 9월 하순경 단일조건에서 형성되며 땅속줄기 끝이 일제히 아래쪽으로 뻗어끝부분이 커지면서 황색이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인경은 깊은 곳(10~20 cm)에 형성된다.인경은 저온이나 건조한 상태에서도 잘 견디며,수명이 길고,10~15°C의 저온에서도발생하여 생장할 수 있으며,벼에 피해를 많이 주는 잡초이다.서식지
논,습지문헌정보
李愚喆. 1996. 原色 韓國基準植物圖鑑. 아카데미서적. p.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