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줄기 ▶ 부엽성 수초로 지하경이 질흙 속을 뻗으며 그 끝에 월동아를 만들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며 한 마디 건너씩 수중경이 나고 수중경은 수심에 따라 길이가 다르며 상부에 부엽, 하부에 침수엽이 난다.
○ 잎 ▶ 거의 호생하나 화서 밑의 침수엽은 대생하기도 한다. 침수엽은 피침형으로 엷고 길이 16㎝, 나비 2.5㎝, 엽병 17㎝에 달한다. 부엽은 장타원형으로 길이 5~10㎝, 나비 2~4㎝이며 표면은 녹색으로 윤채가 나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5~20㎝이다. 엽병 안쪽에 길이 4~7㎝의 독립된 탁엽이 있고 줄기를 싼다.
○ 꽃 ▶ 황록색으로 피고 부엽 짬에서 나온 화경이 수상으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2.5~5㎝로 화시에는 곧추서고 수면 위로 나온다. 화피는 없고 수술 4개, 심피 1~4개이다.
○ 종자 ▶ 과실은 넓은 난형으로 등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 근계 ▶ 지하경을 형성한다.
생태
다년생 초본으로 꽃은 7~8월에 개화하고 10월에 열매가 성숙한다. 전국 각처의 습지, 논에 자생한다.
문헌정보
李愚喆. 1996. 原色 韓國基準植物圖鑑. 아카데미서적. p.385. Holm, L. G., J. V. Pancho, J. P. Herberger and D. L. Plucknett. 1979. A Geographical Atlas of World Weeds. John Wkley & Sons. New York. p.292.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Ⅴ. 서울대학교 출판부. p.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