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크게
초기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
병해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메뉴
NCPMS
전체메뉴
병해충예찰
병해충예찰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예찰결과
병해충예측
병해충예측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병해충예측지도
병해충예측지도
도열병 방제결정지원
기후변화 영향평가
병해충상담
병해충상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병해충정보
병해충정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작물별 도감정보
병해충별 도감정보
병
병원체
곤충
해충
잡초
천적 곤충
주간농사정보
병해충 발생정보
농작물재해예방정보
병해충 검색
이용안내
이용안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NCPMS OpenAPI안내
병해충예측문자발송설정안내
NCPMS 리플렛
전체메뉴 닫기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홈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 신청내용
해충
(논벼 - 새일미)
쌀 반점 문의
경상남도 합천군
상담신청 정보 - 상담신청일자, 답변일자, 주요 발병부위, 최초발생일로 구성
상담신청일자
2023-11-15 18:02:02
접수일시
2023-11-17 09:50:51
답변일시
2023-11-17
의뢰자
김**
알림수신여부
Y
공개여부
Y
전문가
김현주
주요 발병부위
열매
최초발생일
2023-11-15
증상 및 특이사항
합천군농업기술센터입니다.
농업인께서 납품처에 쌀을 납품하였는데 사진과 같은 증상으로 반품이 되어서
무슨 이유인지 알고 싶다고 샘플을 사무실로 보내왔습니다.
농사로에 <밥맛 좋은 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벼농사 본논 후기 병해충 방제>를 참고하고 있으나
알수 없어 상담신청합니다.
농가는 어떤 병해충을 방제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사진정보(3장)
미리보기
미리보기
미리보기
이전
다음
전문가 답변
답변자
김현주
답변일시
2023-11-17
구분
해충
병해충
먹노린재
진단소견
의뢰하신 쌀 반점미 원인은 크게 노린재류와 잎선충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재배농업인과 통화하여 재배방법을 문의한 결과, 친한경재배이고 주변에 먹노린재 발생이 많았으며 방제를 1회만 하였고, 모는 주변 농가에서 구입하였는데 주변 농가는 반점미 피해 소식이 없다고 하여 종자소독은 잘 된 것으로 추측하는 등 여러 상황을 종합할때 먹노린재에 의한 흡즙피해로 판단됩니다.
방제법
먹노린재는 주로 벼 이앙 후 분얼시기에 많이 발생하여 수확때 까지 발생합니다. 보통 6월 준순경부터 발생하는데 초기에는 논뚝 주변 벼에 발생하므로 자주 예찰하여 발생이 학인더ㅚ면 방제를 하고 수확때 까지 보통 2-3회 실시해야 하니다. 방제약제는 화학약제로는 에토펜프록스 성분을 함우한 농약이 효과가 좋고, 유기농업자재로는 제충국과 데리스제 추출물로 된 제품인 NF제충이, 제이인섹트, 단디탄 등이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문의 사항은 국립식량과학원 기술지원과 김현주(063-238-5360)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농약 검색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30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로그인 연장
닫기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통합검색
작물 혹은 병해충명을 입력하세요.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