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신청내용

병리 (배 - 산돌배) 산돌배, 청실배나무 병징에 대한 문의입니다.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 39 (오목천동)국립산림과학원산림자원육성부
상담신청 정보 - 상담신청일자, 답변일자, 주요 발병부위, 최초발생일로 구성
상담신청일자 2024-06-18 18:05:17 접수일시 2024-06-19 12:06:49 답변일시 2024-06-19
의뢰자 구자정 알림수신여부 Y 공개여부 Y
전문가 송장훈 주요 발병부위 최초발생일 2024-05-01
증상 및 특이사항 1. 붉은별무늬병 발생
2. 방제 약제 처리
3. 약제 처리 후 붉은별무늬병이 발병한 자리에 검은색 반점이 발생함
4. 100미터 떨어진 보존원에 1~3과는 다르게(붉은별무늬병과는 무관해 보이는) 검은점이 발생함: 방제 안했음


문의
1. 적성병 개체에 약제 처리 하고 나온 검은 반점은 hypersensitive response 일까요?!
2. 아니면 독자적인 배잎검은점병일까요?!
3. 그으름은 없고, 맥상으로 발생하지 않고, 잎표면은 매끈합니다.
4. 적성병과 무관하게 검은점들이 발생했습니다.
5. 개체간 발생의 등급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인접해 있어도 경중이 다릅니다)

전문가 답변

답변자 송장훈 답변일시 2024-06-19
구분 병해 병해충 알수없음
진단소견 사진을 종합해 볼 때
붉은별무늬병 주변 조직괴사증상은 부생균에 의한 병든부위 썩음증상이며, 과민성반응은 아닙니다.
그외에 붉은별무늬병 증상 외부에 원형 검은색 반점은 배잎검은점병에 의한 것입니다.
방제법 과민성반응은 일반적으로 감염주변 점찍히듯한 융기증상(pinpoint)이 검은별무늬병 저항성반응으로써 보이긴 합니다.
배잎검은점병은 붉은별무늬병균 감염여부와 상관없이 구엽에서 부터 진전되며,
증상이 심하게 되는 이유는 수체세력과 관련이 높습니다.
착과가 많거나, 수분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저장양분이나 영양생장조건이 나쁠 경우에 병증상이 더 많아집니다.
따라서 적정착과, 근권부 안전관리를 위한 배수 관수관리 및 시비관리가 균형잡히도록 관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위해 겨울전정할때 나무 세력을 잘 조절하고 생육기때는 유인작업과 조기 순정리를 통해 나무가 건전하게 자라도록 해주는 것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