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크게
초기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
병해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메뉴
NCPMS
전체메뉴
병해충예찰
병해충예찰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예찰결과
병해충예측
병해충예측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병해충예측지도
병해충예측지도
도열병 방제결정지원
기후변화 영향평가
병해충상담
병해충상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병해충정보
병해충정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작물별 도감정보
병해충별 도감정보
병
병원체
곤충
해충
잡초
천적 곤충
주간농사정보
병해충 발생정보
농작물재해예방정보
병해충 검색
이용안내
이용안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NCPMS OpenAPI안내
병해충예측문자발송설정안내
NCPMS 리플렛
전체메뉴 닫기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홈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 신청내용
해충
(복분자 )
복분자 병해충 문의
경기도 김포시
상담신청 정보 - 상담신청일자, 답변일자, 주요 발병부위, 최초발생일로 구성
상담신청일자
2023-03-14 16:33:35
접수일시
2023-03-16 11:40:23
답변일시
2023-03-16
의뢰자
이**
알림수신여부
Y
공개여부
Y
전문가
주요 발병부위
가지
최초발생일
2023-03-14
증상 및 특이사항
복분자 줄기 및 가지에 좁쌀같은 것들이 보이며, 햐안 딱지가 앉은 듯한 모양을 볼 수 있음.
아래쪽에서 위로 점점 퍼지는 양상
사진정보(2장)
미리보기
미리보기
이전
다음
전문가 답변
답변자
답변일시
2023-03-16
구분
해충
병해충
알수없음
진단소견
사진이 흐리고 겉에 깍지 부분이 벗겨진 곳도 많아서 정확한 종 동정은 어려우나 복분자에 주로 발생하는 장미흰깍지벌레로 보입니다.
방제법
장미흰깍지벌레는 보통 깍지 속에서 약충이나 성충으로 월동한 후 그 속에서 4월 경 산란을 합니다. 산란한 알이 부화해서 깍지 속에서 나와 활동을 하는데 보통 부화한 어린 약충 들은 5월 상순경 발생합니다.
어린 약충이 활동하는 시기인 5월 상순경 약제살포를 하시면 방제 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깍지가 덮여있는 상태에서는 약제를 살포해도 깍지 속으로 약액이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방제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꼭 부화한 어린 약충이 활동하는 5월 상순경부터 가지를 잘 살펴보셔서(돋보기, 핸드폰 카메라 확대 활용) 기어다니는 어린벌레들이 보이면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 복분자, 깍지벌레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시기 바랍니다.
관련농약 검색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30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로그인 연장
닫기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통합검색
작물 혹은 병해충명을 입력하세요.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