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크게
초기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
병해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메뉴
NCPMS
전체메뉴
병해충예찰
병해충예찰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예찰결과
병해충예측
병해충예측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병해충예측지도
병해충예측지도
도열병 방제결정지원
기후변화 영향평가
병해충상담
병해충상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병해충정보
병해충정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작물별 도감정보
병해충별 도감정보
병
병원체
곤충
해충
잡초
천적 곤충
주간농사정보
병해충 발생정보
농작물재해예방정보
병해충 검색
이용안내
이용안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NCPMS OpenAPI안내
병해충예측문자발송설정안내
NCPMS 리플렛
전체메뉴 닫기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홈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 신청내용
생리장해
(포도 - 켐벨얼리)
포도 안익는 증상
경기도 김포시
상담신청 정보 - 상담신청일자, 답변일자, 주요 발병부위, 최초발생일로 구성
상담신청일자
2023-09-13 15:35:37
접수일시
2023-09-14 13:55:38
답변일시
2023-09-15
의뢰자
정**
알림수신여부
Y
공개여부
Y
전문가
최인후
주요 발병부위
열매
최초발생일
2023-09-13
증상 및 특이사항
안녕하세요 김포시농업기술센터 기술지원과 정규민입니다.
오늘 포도 관련하여 출장 중에 안익는 증상이 많아 문의 드립니다.
- 일자 : 2023. 9. 13.
- 주요내용
1) 안익은 포도가 전체적으로 많았음(40~50% 이상)
2) 2 농가 중 1 농가는 포도알이 큰 포도가 안익는 증상이 많았음
3) 다른 농가는 포도알의 크기와는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이 시기에 안익은 포도가 많았으며 매년 이 증상이 늘어나고 있다고 함
4) 올해 전반적으로 갈색무늬병이 전년대비 많았음
5) 김포 포도농가는 대체적으로 부직포를 토양에 설치하며, 일부 농가는 비닐을 추가로 하여 포도 터짐을 방지
감사합니다!
사진정보(5장)
미리보기
미리보기
미리보기
미리보기
미리보기
이전
다음
전문가 답변
답변자
최인후
답변일시
2023-09-15
구분
생리장해
병해충
알수없음
진단소견
안녕하세요
수확기 포도가 고루 착색되지 않은 것은 수분부족에 의한 생리장해로 판단됩니다.
이와 같은 착색불량 현상은 토양에 부직포 및 비닐 등을 멀칭한 곳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겠습니다.
포도 착색불량 대책으로는 수분관리가 중요합니다.
겨울이 지나고 해빙직후부터 낙엽기까지 물을 5일 마다 15톤/10a씩 주면 착색불량 문제는 쉽게 해결될 것입니다.
방제법
포도 갈색무늬병은 나무세력이 약한 나무에서 잘 발생됩니다.
햇볕과 바람이 잘 통하게 관리하시고 병 발생 초기에 등록 약제로 방제 해줍니다.
포도 갈색무늬병 방제를 위한 등록 약제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https://psis.rda.go.kr/)에서 검색하시고, 가까운 농약상에서 구입 가능한 약제로 구입, 사용하시기 바랍니다.다.
관련농약 검색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30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로그인 연장
닫기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통합검색
작물 혹은 병해충명을 입력하세요.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