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크게
초기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
병해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메뉴
NCPMS
전체메뉴
병해충예찰
병해충예찰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예찰결과
병해충예측
병해충예측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병해충예측지도
병해충예측지도
도열병 방제결정지원
기후변화 영향평가
병해충상담
병해충상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병해충정보
병해충정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작물별 도감정보
병해충별 도감정보
병
병원체
곤충
해충
잡초
천적 곤충
주간농사정보
병해충 발생정보
농작물재해예방정보
병해충 검색
이용안내
이용안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NCPMS OpenAPI안내
병해충예측문자발송설정안내
NCPMS 리플렛
전체메뉴 닫기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홈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 신청내용
해충
(산딸기 )
산딸기 줄기 문의
경상남도 진주시
상담신청 정보 - 상담신청일자, 답변일자, 주요 발병부위, 최초발생일로 구성
상담신청일자
2024-02-01 11:12:58
접수일시
2024-02-05 14:36:27
답변일시
2024-02-05
의뢰자
최**
알림수신여부
Y
공개여부
Y
전문가
주요 발병부위
줄기
최초발생일
2024-02-01
증상 및 특이사항
줄기 지제부에서 하얀 반점이 많이 생기는데
병인가요?
어떻게 처리해야 될지.
감사합니다
사진정보(2장)
미리보기
미리보기
이전
다음
전문가 답변
답변자
답변일시
2024-02-05
구분
해충
병해충
알수없음
진단소견
사진이 흐릿하지만 깍지벌레로 보여집니다. 사진상으로는 뽕나무깍지벌레인지 벚나무깍지벌레인지 정확한 종 동정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방제법
깍지벌레는 가지에 주로 붙어서 흡즙하여 피해를 주며 위의 사진과 유사한 깍지벌레 종(벚나무깍지벌레 또는 뽕나무깍지벌레)은 보통 암컷성충으로 월동합니다. 딱딱한 껍질에 둘러싸여 있기때문에 방제시기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월동기 방제로 과수에 사용할 수 있는 기계유유제를 살포하여 일부 방제 효과가 있으며, 추후 봄철에 월동 후 알에서 깨어난 부화 약충이 많이 활동하는 시기에 약제를 살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조 사를 했을 때 5월 상순경이며 보통 1년에 2~3세대가 발생하는데 봄철 특히 5월 상순경 방제를 철저히 하시는 것 이 좋습니다.
관련농약 검색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30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로그인 연장
닫기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통합검색
작물 혹은 병해충명을 입력하세요.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