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크게
초기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
병해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메뉴
NCPMS
전체메뉴
병해충예찰
병해충예찰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예찰결과
병해충예측
병해충예측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병해충예측지도
병해충예측지도
도열병 방제결정지원
기후변화 영향평가
병해충상담
병해충상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병해충정보
병해충정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작물별 도감정보
병해충별 도감정보
병
병원체
곤충
해충
잡초
천적 곤충
주간농사정보
병해충 발생정보
농작물재해예방정보
병해충 검색
이용안내
이용안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NCPMS OpenAPI안내
병해충예측문자발송설정안내
NCPMS 리플렛
전체메뉴 닫기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홈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 신청내용
기타
(사과 - 모름)
사과나무 고사원인 및 치료방법
경기도 양주시
상담신청 정보 - 상담신청일자, 답변일자, 주요 발병부위, 최초발생일로 구성
상담신청일자
2024-09-29 09:13:16
접수일시
2024-09-30 11:08:26
답변일시
2024-09-30
의뢰자
남**
알림수신여부
Y
공개여부
Y
전문가
박해융
주요 발병부위
기타
최초발생일
2024-09-10
증상 및 특이사항
사과나무가 20여주 있습니다. 처음 몇 나무에서 하얀색 가루같은 것이 나무줄기에 묻어 있더니 그 부위는 잎새가 마르며 결국 죽었습니다.
그런데, 얼마후 둘러보다가 사진의 사과나무 한 그루가 잎이 말라 떨어지면서 거의 고사 상태에 이르렀음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근처에 5그루가 있는데, 다른 나무도 싱싱하지는 않지만 사진의 나무는 죽을거 같습니다. 그래서, 발견후 2주정도 지나서(사정상 일찍 약을 할 수 없었음)
사과나무 전체에 약을 뿌리고, 다시 3일후 농협에서 신젠타코리아(주)의 '주렁'이라는 농약을 추천받아 전체나무에 살포하였습니다. 그리고는 또 살포해야 할지 망설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된 이유(아마 흰가루같은 것이 가지에 붙어있었던 것?)와 이 고사직전의 사과나무를 살릴 방법이 있을까요?
붙임사진이 잘 보일지 모르겠습니다. 사과나무 모습과 살포한 농약사진입니다.
사진정보(2장)
미리보기
미리보기
이전
다음
전문가 답변
답변자
박해융
답변일시
2024-09-30
구분
기타
병해충
알수없음
진단소견
사과나무의 가지가 깍지벌레 등 해충의 가해 피해를 받은 것으로 추정되며,
나무의 잎이 전체적으로 말라 떨어지는 것은 깍지벌레 등 병해충의 피해 또는 토양의 지나친 건조.과습으로 뿌리가 상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을 전 조기에 낙엽이 지는 경우, 고사 중이거나, 나무가 쇠약해져 월동이 어렵고, 정상적으로 회복이 어렵습니다.
방제법
1. 깍지벌레 방제를 위해서는 과원 재배관리(동절기 전정 등) 및 동절기 병해충관리(기계유유제 처리 등), 생육기 발생시 전문약제처리가 필요합니다.
2. 조기 낙엽이 진 사과나무의 경우, 회복이 어려우므로 과원에서 제거하고, 새 묘목을 식재합니다.
3. 사과 과원은 정상적인 생육과 열매수확을 위해서는 재배력에 의한 과원관리와 약제처리가 필요합니다.
4. 건조.과습 피해방지를 위해 특히 생육기에는 과원 토양의 적정한 수분을 유지시켜야 하므로, 관배수에 유의합니다.
관련농약 검색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30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로그인 연장
닫기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통합검색
작물 혹은 병해충명을 입력하세요.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