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크게
초기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NCPMS
병해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메뉴
NCPMS
전체메뉴
병해충예찰
병해충예찰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예찰결과
병해충예측
병해충예측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병해충예측지도
병해충예측지도
도열병 방제결정지원
기후변화 영향평가
병해충상담
병해충상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병해충정보
병해충정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작물별 도감정보
병해충별 도감정보
병
병원체
곤충
해충
잡초
천적 곤충
주간농사정보
병해충 발생정보
농작물재해예방정보
병해충 검색
이용안내
이용안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입니다.
NCPMS OpenAPI안내
병해충예측문자발송설정안내
NCPMS 리플렛
전체메뉴 닫기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안내
AI 병해충영상진단
AI 병해충 영상진단 안내
외래 규제병해충 신고
홈
병해충상담
공개상담
상담 신청내용
생리장해
(애호박 - 농협애호박)
애호박 잎의 증상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담신청 정보 - 상담신청일자, 답변일자, 주요 발병부위, 최초발생일로 구성
상담신청일자
2025-11-06 16:17:41
접수일시
2025-11-07 14:19:27
답변일시
2025-11-07
의뢰자
나**
알림수신여부
Y
공개여부
Y
전문가
최인후
주요 발병부위
잎
최초발생일
2025-10-20
증상 및 특이사항
시설하우스 2동 애호박 8년째 경작중이며, 지난 9.23일 4,200주 정식한 후 10월 중순경부터 몇주가 줄기 상단잎부터 주굴거리며 자라다가 맨 윗부분이 뭉텅거림.
아랫부분 애호박은 수확은 가능했으나 점점 확산되는 느낌이며 현재 200~300주가 이런 현상이 나옵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사진정보(5장)
미리보기
미리보기
미리보기
미리보기
미리보기
이전
다음
전문가 답변
답변자
최인후
답변일시
2025-11-07
구분
생리장해
병해충
알수없음
진단소견
안녕하세요.
<원인>
1. 저온기, 광 부족으로 인한 생리장해
1) 애호박 신초의 생장이 더디고, 새 잎이 두껍게 말리며 주름짐이 심한 형태는 낮은 온도(야간 12℃이하)와 일조 부족 시 발생하는 생리장해 증상입니다.
2) 저온의 경우 뿌리 활력이 떨어지므로 칼슘, 붕소 등 미량원소 흡수가 어려워집니다.
3) 정식 후에는 초기(9월하순)에는 고온이었지만, 10월 중순 이후 급격히 밤 기온이 떨어지면서, 저온과 광 부족으로 생장점이 일시적으로 위축된 후 회복하는 과정으로 보입니다.
2. 칼슘 또는 붕소 결핍
- 칼슘 또는 붕소 결핍인데, 토양의 절대량이 부족하다기보다는 온도와 수분 조건의 변화로 인해 뿌리에서 흡수가 어려워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입니다.
방제법
<점검사항>
1) 하우스 온도: 주간 25∼28℃, 야간 15℃이상 유지
2) 토양 수분 관리: 과습은 피하면서 건조와 과습이 반복되지 않도록 관리
3) 질소질 비료 줄이기
<대책>
1) 환경 조절: 야간온도가 15℃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온 커튼 등을 조기에 닫아 하우스 내 온도 유지
2) 비료 조절: 질소질 비료를 줄이고, 칼슘과 붕소 공급 강화(엽면시비 2회/주, 칼슘제+소량 붕소제)
※ 엽면시비 예시: 칼슘제(칼슘아미노산, 칼슘킬레이트 등) 0.3% 농도로 7일 간격 2∼3회 살포, 붕소제는 0.1%이하 농도로 10일간격 1∼2회 살포
3) 피해 잎 관리: 쭈글거리며 두꺼워진 잎은 광합성 효율이 낮으므로 점차 적으로 제거해 줍니다.
관련농약 검색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이미지
팝업닫기
자동 로그아웃 안내
30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로그인 연장
닫기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통합검색
작물 혹은 병해충명을 입력하세요.
검색
닫기